보험이야기/│암진단42 국가 암 검진 제도와 암 생존율 암치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발견'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암 조기발견을 위해 국가에서 암검진제도를 운영하고 잇습니다. 암 검진제도가 무엇이고 발생률 상위 암의 병기별 생존율을 알아봅니다. 또 어떤 암을 어떤 주기로 검사해 주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가암검진제도란?국가암검진제도란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 국가차원에서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한국인 발병률이 가장 높은 위암·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이렇게 6개 암에 대한 검진이 실시됩니다. 즉, 암 검진은 암생존율을 높입니다. 조기발견을 통해 미리 발견하고 치료받게 되어 암 생존율을 높이는 것입니다. 암관리법.. 2024. 6. 19. 암 병기 구분하는 두가지 방법 - TNM, 요약병기 같은 암이어도 암은 1기가 있고, 2,3,4기가 있습니다.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이를 의학용어로 암의 임상적 병기라고 부릅니다. 임상병기는 암의 크기나 주위 조직의 침투와 림프샘에 전이에 따라서 나뉘게 됩니다. 1기는 장기에 국한되어 있는 암입니다. 눈에 보여 바로 수술로 제거 가능합니다. 2기는 주위 조직이나 림프절에 전파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수술은 가능하나 완전히 절제를 할 때 수술의 부위가 커지게 됩니다. 3기는 2기보다 더 깊은 조직이나 림프샘까지 전파되어있는 암입니다. 4기는 다른 장기에 전이되어 있는 암으로 원칙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암을 말합니다. 오늘은 이런 치료를 위해 암의 병기를 구분하는 두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1. TNM 분류법Tumor : 종양의 크기.. 2024. 6. 17. 암을 제거하는 세가지 방법 우리 몸은 수없이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세포들이 모여서 조직이 되고, 장기가 되고 사람이 됩니다. 필요한 만큼 만들어지면 좋지만 너무 과하게 만들어져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남는 것들이 모여 몸 안에 혹 같은 것이 생기는데 이것이 바로 종양입니다. 이 종양은 우리 몸에 없었던 것이기 때문에 신생물(新生物_새롭게 생긴 물질)이라고 표현합니다. 오늘은 이 신생물 중 나쁜 신생물인 암을 제거하는 세 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봅니다. 일반적인 암의 치료방법은 3가지입니다. 잘라내고(수술), 약으로 죽이고(항암제), 태워 없애고(방사선)방법입니다. 1. 근본적인 제거방법 수술 종양은 떼어내서 없애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암수술은 외과적으로 악성종양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대문에 가장.. 2024. 6. 12. 췌장암 통계로 본 검진의 중요성 1. 췌장암이란? 췌장암은 췌장에 생겨난 암세포의 덩이입니다. 이런 덩이를 종괴(腫塊)라고 합니다. 췌장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90% 이상은 췌관의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기에,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 선암(膵管腺癌)을 말합니다. 선암이란 선세포, 즉 샘세포에서 생기는 암을 가리킵니다. 췌장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증상에 차이가 있습니다. 위 · 대장 - 내시경 통해 비교적 쉽게 체크 가능 췌장 - 조기진단이 어려움 위치도 깊어 발견 힘들고, 주변에 중요한 혈관들이 밀접해 전이되면 수술자체가 불가능 2.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1) 은 다음과 같습니다. 췌장암 1993-95 1996-2000 2001-05 2006-10 2011-15 2017-21 남녀전체 10.6% .. 2024. 4. 14.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