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8

비만과 혈관질환 연관 비만은 21세기의 신종 전염병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많은 곳에 비만에 대해 경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WHO에서는 비만을 이미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이 비만 때문에 심각한 여러 질병들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현대시대는 이런 비만에서 비롯되는 성인병의 시대라고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이런 생활 습관적인 요소들로 인한 질병들이 현대사회에서는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1. 비만이란?비만은 영어로 Obesity라고 합니다. 이는 많이 먹는다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over + eat입니다. 반면 한자로는 肥滿 살찐 비, 찰만 자로 살로 가득 차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대한 상태.. 2024. 9. 6.
갑상선암 상대 생존율 100%↑의 의미 1. 갑상선암이란?갑상선에 생긴 혹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는데,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나뉩니다. 이중 악성 결절들을 갑상선암이라고 합니다. 갑상선암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암이 커져 주변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전이, 원격전이를 일으켜 심한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갑상선에 생기는 결절의 5-10%정도가 갑상선암으로 진단됩니다. 2. 갑상선암 종류?갑상선암은 기원이 된 세포의 종류나 세포의 성숙 정도에 따라 분류됩니다. 기원 세포의 종류에 따라 나누면, 여포세포에서 기원하는 유두암과 여포암, 저분화암 및 미분화암(역형성암), 여포세포 이외의 세포에서 기원하는 수질암과 림프종, 그리고 전이성 암 등이 있습니다. ‘여포’란 소포라고도 하는 것으로, 동물의 내분비 샘 조직에서 다수의 세포가 모여 이루.. 2024. 8. 28.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매 발병 위험 매년 6월 9일은 구강보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국민 구강건강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제정된 구강보건의 날입니다. 예전부터 우리는 치아를 오복 중의 하나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오래 살고, 부유하게 살고, 건강하게 살고, 덕망 있는 삶, 귀하게 죽는 이렇게 다섯 가지를 유교에서 말하는 오복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오복에 포함되지 않지만 치아건강을 오복 중에 하나라고 말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하는 게 삶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1. 외래 다빈도 질병 순위 코로나 이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치주질환이 국민들이 앓는 질병중 다빈도 상병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또한 진료비 청구액 중에서도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2024. 8. 27.
우리나라 노인 노후의 특징 1. 마처세대란? 60년대 생은 약 860만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호황기와 불황기를 모두 겪으며 단련된 세대입니다. 80년대 중후반부터 한국 경제가 도약할 때 노동시장에 진입해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민주화를 위해 힘썼으며, 90년대에는 IMF금융 위기도 겪었습니다.  이런 세대의 대부분이 마처세대입니다. 마처세대란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현재 노부모나 아직 독립하지 못한 자녀 중 한쪽을 부양하거나 양쪽을 모두 부양중입니다.   2. 노후에 일하는 가장 큰 이유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는 65∼79세의 비율은 전체의 55.7%로 절반을 넘겼.. 2024. 8. 27.
728x90